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일동장유가2

『일동장유가』 교토 방문 장면 해설|조선 통신사의 눈으로 본 일본의 문물과 비판 1763년 조선 통신사 김인겸이 지은 『일동장유가』 중 교토 방문 부분을 현대어로 해석하고 해설합니다. 일본 문물에 대한 놀라움과 비판, 조선의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 기행가사입니다.📝 본문: 『일동장유가』 교토 방문 현대어 번역 및 해설🔍 원문 일부물속에 수기(水機) 놓아 강물을 자아다가홈으로 인수(引水)하여 성안으로 들어가니,제작이 기묘하여 법 받음직 하고나야.(...)그 물이 쏟아져서 홈 속으로 드는구나.(...)온 성안 거민들이 이 물을 받아 먹어부족들 아니 하니, 진실로 기특하고 묘함도 묘할시고.🗣 현대어 번역강물 속에 물레처럼 돌아가는 장치를 설치해, 물을 퍼 올려 도랑을 통해 성 안으로 끌어들이고 있었다. 이 장치는 너무도 기묘하고 정교해서 본받을 만했다. 통이 돌아가며 물을 계.. 2025. 5. 13.
『일동장유가』 현대어 요약 및 감상|조선 사신이 본 청나라, 김인겸의 북경 여행기 📌 작품 소개: 조선의 눈으로 본 일본 기행『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는 조선 영조 39년(1763년), 조선통신사의 부사로 일본을 다녀온 김인겸(金仁謙)이 남긴 장편 기행 가사입니다. 총 7,158행에 달하는 이 작품은 한양에서 출발해 대마도, 오사카, 교토를 거쳐 귀국하기까지의 여정을 시적 언어로 담고 있으며, 일본의 문물에 대한 감탄과 비판, 그리고 조선의 자부심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귀중한 문학 자료입니다.특히 『일동장유가』는 연행가(燕行歌)와 함께 조선 후기 양대 기행문학으로 평가받으며, 한자로 쓰지 않고 한글로 서술된 국문 가사라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가집니다.📖 작품 요약과 현대어 번역원문 발췌 (초입부) 선비의 뜻이 있어 장유를 하나니 용기를 믿고 말을 타고 강호를 넘으니 연경에.. 2025. 5.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