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구온난화 |❄️ [지구는 따뜻해지는데…] NASA 위성은 남극의 얼음이 늘었다고 말한다?

NASA 위성 데이터에 따르면 남극 빙하가 최근 몇 년간 증가했지만, 이는 지구온난화가 멈췄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례적 강설이 원인인 일시적 현상일 뿐, 해수면 상승과 기후위기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 남극의 얼음이 늘었다고?

🧊 남극의 얼음이 늘었다고?

최근 NASA 위성 데이터에 따르면, 지구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극 대륙의 얼음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놀라운 결과는 중국 상하이의 동제대학교(Tongji University) 연구진이 NASA의 GRACE 및 GRACE-FO 위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이 소식이 곧 지구온난화가 끝났다는 의미는 절대 아닙니다.


반응형

📉 20년간 지속된 빙하 감소, 잠깐의 반등일 뿐

📉 20년간 지속된 빙하 감소, 잠깐의 반등일 뿐

남극 빙상(ice sheet)은 2002년부터 2020년까지 연 평균 약 1570억 톤의 얼음이 사라졌습니다.
이는 이전 기간(2002~2010)의 손실보다 2배 가까이 빨라진 수치입니다.

하지만 2021~2023년에는

연평균 약 1190억 톤의 얼음이 다시 늘어난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는 주로 동남극(East Antarctica)에 집중되었으며, 4개의 주요 빙하가 오히려 질량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이유는 ‘이례적인 강설’

남극의 얼음 증가는 지구온난화가 멈췄기 때문이 아닙니다.
실제로는 이례적인 강설과 습한 공기 덕분에 생긴 일시적인 변화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 기온이 상승하면 대기 중 수증기량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강설량이 일시적으로 늘어나기도 합니다.

북부 브리튼의 노섬브리아 대학 환경과학 연구원 톰 슬레이터(Tom Slater)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건 이상할 게 없습니다. 따뜻한 기후에서는 대기가 더 많은 수분을 담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강설도 더 많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해수면 상승 중

연구진은 분명히 경고하고 있습니다.

“남극 빙하의 전반적인 흐름은 여전히 해빙과 해수면 상승 방향으로 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빙하 손실은 남극 해안가 빙하가 빠르게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에서 기인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최근 강설로 인한 일시적인 증가가 이를 뒤엎을 수 없습니다.


🌍 지구온난화는 ‘중단되지 않았다’

기후 변화는 지구 전역에서 균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북극은 지구 평균보다 4배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고,
2023년에는 남극 주변의 해빙 면적도 사상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2025년 4월은 최근 22개월 중 21번째로 1.5°C 한계를 넘긴 달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파리기후협정의 목표가 위협받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결론: 남극의 빙하 증가, "착시"일 뿐

남극의 얼음 증가 현상은 지구온난화가 멈췄다는 증거가 아닙니다.
오히려 기후 변화의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기후위기를 잊지 말고,
장기적인 환경 보호 노력과 탄소 배출 저감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해야 합니다.

 

#지구온난화 #남극빙하 #NASA위성 #기후변화 #빙하감소 #지구환경 #탄소중립 #해수면상승 #기후위기 #GRACE위성 #남극연구 #환경보호 #2025기후

 

"또 비 오네”…왜 주말마다 날씨가 심술일까?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의 연결고리

목차주말마다 반복되는 ‘날씨 테러’, 우연일까?지구온난화가 주말 날씨에 미치는 영향기후 패턴의 변화와 우리 삶의 적응 전략Q&A주말마다 반복되는 ‘날씨 테러’, 우연일까?“또 이러네, 망

smallwonders.sungjin79.com

 

 

🌍 멀리 있는 남극해 온난화가 한국 여름 날씨에 영향을 준다고?

지구 반대편, 한참 떨어진 남극해에서 벌어지는 일이 우리나라 여름 날씨에 영향을 준다면 믿어지시나요? 최근 발표된 과학 연구 결과가 이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지금부터 어떤 연결고

smallwonders.sungjin79.com

 

반응형
반응형

지구 해수면 상승: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변할까?
출처-블래트니커

 

기후 변화는 단순히 날씨가 조금 더 더워지는 문제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 영향은 우리가 매일 접하는 환경 곳곳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해수면 상승은 그 중 가장 직관적이고, 실질적인 문제로 다가옵니다. 최근 발표된 IPCC AR6 보고서는 지구 해수면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미래 예측을 살펴보겠습니다.

 

🌍 1901년과 2018년 사이의 해수면 변화

 

AR6 보고서에 따르면, 1901년부터 2018년까지 지구 평균 해수면은 약 20cm 상승했습니다. 이 수치는 그리 크지 않아 보일 수 있지만, 해수면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경고입니다. 특히 20세기 후반에는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전반적인 상승률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는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었음을 시사합니다.

 

📅 2100년까지의 해수면 상승 예측

출처-브래트니커

그렇다면, 향후 80여 년 뒤인 2100년까지 해수면은 얼마나 더 상승할까요? AR6 보고서는 다양한 배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1. 최저 배출 시나리오:
    만약 우리가 온실가스 배출을 급격히 줄인다면, 해수면은 약 28~55c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최악의 시나리오보다는 나은 결과이지만, 여전히 많은 해안 지역에서 침수나 홍수 피해가 우려되는 수준입니다.
  2. 중간 배출 시나리오:
    우리가 현재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하거나 약간만 줄일 경우, 해수면 상승은 약 44~76cm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많은 저지대 지역과 섬나라들이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3. 최고 배출 시나리오:
    만약 우리가 온실가스 배출을 거의 제어하지 못한다면, 해수면은 63~101c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일부 연안 도시들이 물에 잠길 위험에 처하게 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수치입니다.
반응형

🏝️ 해수면 상승의 영향

해수면 상승은 단순히 물이 올라오는 문제가 아닙니다. 해수면 상승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해안 침수 및 침식: 특히 해안선이 낮은 지역에서는 이미 바닷물의 침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주거지, 인프라, 농지 등을 위협합니다.
  • 식수 부족: 바닷물이 담수층으로 침투하면서 많은 지역에서 식수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생태계 변화: 해양 생물들이 서식지를 잃거나, 육상 생물들이 서식지를 잃을 수 있습니다. 특히 습지, 산호초 등의 중요한 생태계가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해수면 상승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영향을 최소화하고, 속도를 늦출 수 있는 방법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지속 가능한 개발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을 사용하며, 재생 가능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결론

지구 해수면 상승은 우리가 피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지만,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노력, 해안 보호 시스템 구축, 그리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통해 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결국, 우리와 후손들이 살아갈 환경을 위해서는 지금 당장 실천이 필요합니다.


출처: IPCC AR6 보고서,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응.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