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학/한국고전소설71 『일동장유가』 교토 방문 장면 해설|조선 통신사의 눈으로 본 일본의 문물과 비판 1763년 조선 통신사 김인겸이 지은 『일동장유가』 중 교토 방문 부분을 현대어로 해석하고 해설합니다. 일본 문물에 대한 놀라움과 비판, 조선의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 기행가사입니다.📝 본문: 『일동장유가』 교토 방문 현대어 번역 및 해설🔍 원문 일부물속에 수기(水機) 놓아 강물을 자아다가홈으로 인수(引水)하여 성안으로 들어가니,제작이 기묘하여 법 받음직 하고나야.(...)그 물이 쏟아져서 홈 속으로 드는구나.(...)온 성안 거민들이 이 물을 받아 먹어부족들 아니 하니, 진실로 기특하고 묘함도 묘할시고.🗣 현대어 번역강물 속에 물레처럼 돌아가는 장치를 설치해, 물을 퍼 올려 도랑을 통해 성 안으로 끌어들이고 있었다. 이 장치는 너무도 기묘하고 정교해서 본받을 만했다. 통이 돌아가며 물을 계.. 2025. 5. 13. 『일동장유가』 현대어 요약 및 감상|조선 사신이 본 청나라, 김인겸의 북경 여행기 📌 작품 소개: 조선의 눈으로 본 일본 기행『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는 조선 영조 39년(1763년), 조선통신사의 부사로 일본을 다녀온 김인겸(金仁謙)이 남긴 장편 기행 가사입니다. 총 7,158행에 달하는 이 작품은 한양에서 출발해 대마도, 오사카, 교토를 거쳐 귀국하기까지의 여정을 시적 언어로 담고 있으며, 일본의 문물에 대한 감탄과 비판, 그리고 조선의 자부심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귀중한 문학 자료입니다.특히 『일동장유가』는 연행가(燕行歌)와 함께 조선 후기 양대 기행문학으로 평가받으며, 한자로 쓰지 않고 한글로 서술된 국문 가사라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가집니다.📖 작품 요약과 현대어 번역원문 발췌 (초입부) 선비의 뜻이 있어 장유를 하나니 용기를 믿고 말을 타고 강호를 넘으니 연경에.. 2025. 5. 13. 유씨삼대록 분석 | 줄거리, 작품 특징, 문학사적 의의까지 총정리 『유씨삼대록』은 조선 후기 여성 삼대의 효행과 충절을 중심으로 한 가정소설입니다. 작품의 줄거리와 특징, 문학사적 의의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유씨삼대록』 작품 분석: 효와 충, 그리고 여성의 역동적 계보를 그린 고전소설1. 작품 개요『유씨삼대록(劉氏三代錄)』은 조선 후기 창작된 가문 중심의 가정소설로, 유씨 집안 삼대에 걸친 인물들의 효행과 충절, 그리고 가문 유지의 노력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특히 여성 인물들의 지혜와 덕행, 가족을 위한 희생이 두드러져, 여성 중심 서사로도 주목받는 작품입니다.이 소설은 『숙영낭자전』과 같은 가정소설 계열에 속하며, 중장기적 서사와 여성의 능동성이 강조되는 특징을 지닙니다.2. 작품의 특징삼대(할머니-어머니-손녀)의 서사 구조: 단일 주인공이 아니라 세대 간의 .. 2025. 5. 6. 최고운전 | 최치원전 | 한국고전소설 | 신라의 천재 문장가, 최치원의 삶과 문학을 담은 '최고운전' | 수능기출문학 천 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최치원의 이야기, 그의 삶에서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문득 대학원 시절 공부하던 고전문학 수업이 생각나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됐어요. 그때 교수님께서 '최고운전'을 가르쳐주셨는데, 이 작품이 얼마나 재밌고 의미있는지 깨닫는 데 시간이 좀 걸렸던 것 같아요. 사실 처음엔 '또 고리타분한 옛날 이야기겠지'라고 생각했던 제가 부끄럽더라구요. 최치원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한 이 소설이 신라 말기의 시대상과 당시 지식인의 고뇌를 이렇게 생생하게 담아낼 줄이야! 오늘은 제가 그때 받았던 감동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어요. 최고운전이 단순한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많은 의미를 던져주는 작품이라는 걸 알려드리고 싶.. 2025. 5. 5. 이전 1 2 3 4 ··· 1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