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장자

장자 |부지천고지후(不知天高地厚)| 하늘이 높고 땅이 두터움을 모른다?

by 리딩Note 2025. 5. 12.
728x90
반응형

장자의 말, “부지천고지후(不知天高地厚)” – 하늘이 높고 땅이 두터움을 모른다?

고전 철학 속 한 구절이지만, 오늘날 우리 삶에도 깊은 울림을 주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장자(莊子)』에 나오는 “不知天高地厚(부지천고지후)”, 즉 *"하늘이 얼마나 높고, 땅이 얼마나 두터운지도 모른다."*는 말입니다. 이 말은 겸손과 무지, 또는 깨달음 이전의 무지를 비유할 때 자주 쓰입니다. 오늘은 이 말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관련된 일화와 함께 장자가 전하고자 했던 철학을 풀어보고자 합니다.

728x90
반응형

📜 “부지천고지후(不知天高地厚)”란?

  • 한자 뜻풀이
    • 不(아닐 부)
    • 知(알 지)
    • 天(하늘 천)
    • 高(높을 고)
    • 地(땅 지)
    • 厚(두터울 후)

직역하면 **"하늘이 얼마나 높은지, 땅이 얼마나 두터운지도 모른다."**는 뜻입니다. 단순한 표현 같지만, 이 말에는 인간의 한계, 무지, 자만, 그리고 깨달음에 이르는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 관련 일화: 우물 안 개구리의 이야기

이 구절은 『장자(莊子)』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정저지와(井底之蛙)", 즉 "우물 안의 개구리" 일화와 맞닿아 있습니다.


📖 일화 소개:

옛날, 우물 안에 사는 개구리가 있었습니다. 하루는 바다에 사는 거북이 한 마리가 찾아왔습니다. 개구리는 물었습니다.

“너는 어디서 왔느냐?”

거북이: “나는 동해(東海)에서 왔다.”

개구리: “동해가 그렇게 크냐? 우리 우물만 해도 벽을 따라 한 바퀴 돌면 충분한데, 거긴 얼마나 넓은데?”

거북이는 잠시 멈추고 말했습니다.

“너는 하늘이 얼마나 높은지, 땅이 얼마나 두터운지도 모르고, 바다가 얼마나 깊은지도 모른다. 네가 본 세계는 단지 우물 안일 뿐이야.”

이때 사용된 말이 바로 **“不知天高地厚(부지천고지후)”**입니다.


🧠 장자가 전하고자 한 철학적 메시지

장자는 이 일화를 통해 인간의 편협한 시야를 비판했습니다. 우리는 종종 자신이 경험한 세계를 전부라고 착각하고, 자기 기준만으로 남과 세상을 판단하려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아는 것은 광대한 우주의 한 조각일 뿐입니다.

이 말은 단순한 겸손을 넘어, 자기 인식의 한계를 인정하고 열린 사고로 세상을 바라보라는 가르침입니다.


🔍 현대적 적용: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않으려면?

오늘날 이 표현은 다양한 분야에서 쓰입니다.

  • 학문이나 기술: 자신이 알고 있는 분야만 절대적이라고 착각하지 않기
  • 직장과 인간관계: 다양한 의견과 시각을 열린 마음으로 수용하기
  • 삶의 태도: 고정관념을 버리고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배우려는 자세

특히 글로벌 사회에서는 더더욱, 자신만의 좁은 경험 안에 갇히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 마무리: 깨달음은 자신을 낮추는 데서 시작된다

장자의 “부지천고지후”는 단순한 무지를 꾸짖는 말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의 인식 한계를 자각하라는 초대입니다.
자신의 우물 밖을 궁금해하고, 바다의 깊이를 상상할 줄 아는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지혜를 향해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 나는 우물 안 개구리일까, 아니면 세상을 향해 눈을 뜬 거북이일까 스스로 물어보는 하루가 되었으면 합니다.


💬 당신이 경험한 '우물 안 개구리' 같은 순간은 언제였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