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맹자

맹자|非不能也 是不為也(비불능야 시불위야)|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by 리딩Note 2025. 5. 18.
728x90
반응형

맹자 명언 해석: 비불능야 시불위야 -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비불능야 시불위야의 의미

맹자의 유명한 말 중 하나인 “非不能也 是不為也(비불능야 시불위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어떤 일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능력 부족이 아니라, 의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맹자의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한자 해석과 직역

  • 非(비): 아니다
  • 不能(불능): 할 수 없다
  • 也(야): ~이다
  • 是(시): 곧 ~이다
  • 不為(불위): 하지 않는다

따라서 “非不能也 是不為也”는 “그것은 할 수 없어서가 아니라, 안 해서일 뿐이다”라는 뜻입니다.

반응형

맹자의 원문과 문맥

이 구절은 『맹자』 「양혜왕 하」편에 등장합니다. 제나라 혜왕이 맹자에게 정치를 어떻게 해야 백성을 잘 다스릴 수 있는지 묻자, 맹자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왕이 정치를 잘 하지 못하는 것은 능력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려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非不能也 是不為也).”

이 말은 통치뿐 아니라 개인 수양과 사회적 책임, 실천적 삶 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철학입니다.

역사적 사례: 한신과 유방

한신(韓信)의 예

초한지 시대의 명장 한신은 청년 시절 가난과 무시에 시달리며, 거리에서 굴욕을 겪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실력을 갈고닦아 유방 밑에서 뛰어난 전략가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한신의 성공은 "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기회를 기다리고 노력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유방의 용인술

유방은 사람을 알아보고 쓰는 데 능했습니다. 맹자의 말처럼 능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그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리더십을 통해 천하를 얻은 것입니다.

현대적 해석: 의지의 힘

오늘날 이 명언은 자기계발과 동기부여의 핵심 문장으로도 많이 인용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이루지 못하는 이유는 실제로 "할 수 없어서"가 아니라 "스스로 포기하기 때문"입니다.

“비불능야 시불위야”는 실천의 가치, 자기 책임, 도전 정신을 일깨워주는 철학적 격언입니다.

비불능야 시불위야,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까?

  • 자기계발: 작은 습관이라도 의지를 가지고 반복하면 가능성이 열린다.
  • 일과 업무: 능력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자세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 인간관계: 화해, 소통, 용서도 의지의 문제이다.

맺음말

맹자의 “비불능야 시불위야”는 단순한 고사성어가 아닙니다. 그것은 실천적 삶의 자세를 가르치는 철학이자, 우리가 스스로에게 던지는 물음입니다. 오늘 당신이 미뤄온 일은 정말 못해서였을까요? 아니면 하지 않았던 것일까요?

#맹자 #비불능야시불위야 #동양철학 #고전명언 #자기계발 #실천철학 #고사성어 #맹자명언 #삶의지혜 #의지의힘 #행동의중요성

 

맹자 명언: “不以規矩, 不能成方圓(불이규구, 불능성방원)” – 원칙 없는 성장은 없다

고전 명언 속에는 시대를 초월하는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오늘 소개할 명언은 『맹자』에서 유래한 말로, 일과 인간관계, 그리고 자기수양의 모든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smallwonders.sungjin79.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