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해석
- 拒(거) : 막다, 거절하다
- 人(인) : 사람
- 於(어) : ~에서, ~로부터
- 千里(천리) : 천 리, 아주 먼 거리
- 之外(지외) : 그 밖, 바깥
👉 직역하면 “사람을 천 리 밖에서부터 막는다”는 뜻으로,
👉 의역하면 “상대방의 접근 자체를 단호히 거절하거나, 소통을 완전히 차단하다”는 의미입니다.
📖 맹자의 문맥 속 '거인어천리지외'
맹자가 이 표현을 사용한 맥락은 다음과 같습니다.
맹자는 군주의 덕치(德治)를 강조하면서 비판을 전면 거부하거나 바른 말조차 못 듣게 만드는 군주를 경계했습니다. 이런 군주는 신하의 충언을 '거인어천리지외' 하여, 비판을 아예 차단하는데, 이는 망국의 길이라고 지적합니다.
맹자는 참된 군주는 백성의 말, 신하의 말을 귀담아 들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이를 무시하는 군주는 결국 고립되거나 패망하게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 현대적 의미: 소통을 거부하는 태도는 위험하다
오늘날에도 ‘거인어천리지외’의 태도는 여러 사회적, 조직적 문제를 야기합니다.
🙅♂️ 소통 단절의 위험성
- 팀 내 소통을 차단하거나 다른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는 리더
- 비판이나 피드백을 받아들이지 않고 방어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태도
- 외부 정보를 차단하고 고립된 결정을 내리는 기업 문화
이러한 태도는 창의성 저하, 신뢰 상실, 고립, 그리고 결국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열린 태도의 중요성
- 비판 속에서도 진심을 듣고, 더 나은 방향을 모색하는 리더십
-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더 깊이 있는 판단을 내리는 자세
- 피드백을 성장의 자양분으로 삼는 유연한 사고
🧩 실제 사례로 보는 '거인어천리지외'
📌 역사적 사례: 말기 조선의 폐쇄적 정치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시기에는 비판적 목소리를 억누르고, 소수 가문 중심의 권력 독점이 심해졌습니다.
그 결과 민심은 멀어지고 개혁은 좌절, 국가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이 역시 거인어천리지외의 대표적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 현대 사례: 기업 리더십의 실패
대기업이 현장의 목소리나 소비자 불만을 무시하고 일방적인 경영을 펼쳤을 때, 사회적 신뢰를 잃고 몰락한 사례도 많습니다.
→ ‘피드백 무시’ = ‘거인어천리지외’의 실전적 사례입니다.
✨ 맺음말
맹자의 **거인어천리지외(拒人於千里之外)**는 단순한 말이 아닙니다.
이는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얼마나 열린 자세로 사람의 말을 듣고 있는지,
얼마나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려 하는지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명언입니다.
비판을 차단하는 자는 스스로 성장을 멈추고, 고립을 자초하게 됩니다.
맹자의 말처럼, 귀를 열고 가슴을 열어야 진정한 소통과 발전이 가능합니다.
맹자|非不能也 是不為也(비불능야 시불위야)|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비불능야 시불위야의 의미맹자의 유명한 말 중 하나인 “非不能也 是不為也(비불능야 시불위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어
smallwonders.sungjin79.com
'문학 >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 |진신서불여무서(盡信書不如無書) 해석과 현대적 의미 (0) | 2025.05.21 |
---|---|
맹자 |浩然之氣 (호연지기) - 진정한 도덕적 기개란 무엇인가? (0) | 2025.05.20 |
맹자 |寡不敵衆 (과부적중)|적은 수는 많은 수를 이기지 못한다 (0) | 2025.05.19 |
맹자|非不能也 是不為也(비불능야 시불위야)|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0) | 2025.05.18 |
맹자 명언: “不以規矩, 不能成方圓(불이규구, 불능성방원)” – 원칙 없는 성장은 없다 (0) | 2025.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