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고전명언7

맹자 |勞心者治人 勞力者治於人 (노심자치인 노력자치어인)의 의미와 현대적 해석 1. 원문과 해석■ 원문勞心者治人, 勞力者治於人■ 한자 풀이노심자(勞心者): 마음을 써서 일하는 사람 (정신노동자)치인(治人): 사람을 다스린다노력자(勞力者): 힘을 써서 일하는 사람 (육체노동자)치어인(治於人): 사람에게 다스림을 받는다■ 의역“마음으로 일하는 자는 사람을 다스리고, 몸으로 일하는 자는 사람에게 다스림을 받는다.”---2. 맹자의 시대적 배경과 정치철학맹자는 누구인가?맹자(孟子, BC 372~289)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유학의 대가로, 민본주의(民本主義)를 주장하며 도덕 정치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노심자와 노력자 구분의 의도맹자는 단순히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을 구분하기 위함이 아니라, 지도자는 깊은 사유와 도덕적 판단을 통해 백성을 다스릴 자격이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했.. 2025. 5. 23.
맹자 |寡不敵衆 (과부적중)|적은 수는 많은 수를 이기지 못한다 寡不敵衆의 의미寡不敵衆(과부적중)은 “적은 수가 많은 수를 이기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맹자의 글 중에서 등장하는 표현으로, 물리적 열세나 숫자의 우위는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는 말입니다.한자 해석과 직역寡(과): 적다不(부): ~하지 못하다敵(적): 맞서다, 대적하다衆(중): 많다, 군중따라서 직역하면 “적은 수는 많은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라는 의미로, 객관적 열세를 인정하되, 현실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철학적 입장을 담고 있습니다.맹자의 문맥 속에서『맹자』 「공손추 상」편에서 맹자는 도의에 따라 다스리는 정치의 힘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이 말을 사용합니다. 이는 단순히 숫자의 문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의로움이 군중의 지지를 받으면 적은 수라도 강할 수 있다는 맥락에서 언.. 2025. 5. 19.
맹자|非不能也 是不為也(비불능야 시불위야)|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비불능야 시불위야의 의미맹자의 유명한 말 중 하나인 “非不能也 是不為也(비불능야 시불위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어떤 일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능력 부족이 아니라, 의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맹자의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한자 해석과 직역非(비): 아니다不能(불능): 할 수 없다也(야): ~이다是(시): 곧 ~이다不為(불위): 하지 않는다따라서 “非不能也 是不為也”는 “그것은 할 수 없어서가 아니라, 안 해서일 뿐이다”라는 뜻입니다.맹자의 원문과 문맥이 구절은 『맹자』 「양혜왕 하」편에 등장합니다. 제나라 혜왕이 맹자에게 정치를 어떻게 해야 백성을 잘 다스릴 수 있는지 묻자, 맹자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왕이 정치를 잘 하지 못하는 것은.. 2025. 5. 18.
맹자의 말, “不藏怒 不宿怨(부장노 불숙원)” – 화와 원한을 넘기는 마음의 태도 살다 보면 사람은 누구나 화가 나고, 억울한 일을 겪고, 상처받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감정을 오래 품고 있으면 결국 나 자신을 해치게 됩니다.『맹자』는 그런 감정의 처리 방식에 대해 분명히 말합니다.“不藏怒 不宿怨”“화를 품지 말고, 원한을 밤새 지니지 말라.”이 말은 단순한 감정 통제가 아닌, 도덕적 수양과 인간관계의 기본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 한자 해석不(아닐 불) : ~하지 않는다藏(감출 장) : 감추다, 쌓아두다怒(성낼 노) : 분노宿(잘 숙) : 밤새다, 오래 두다怨(원망 원) : 원한, 미움→ **“화를 감추어 오래 두지 말고, 원한을 밤새 묵혀 두지 말라”**는 뜻입니다.→ 즉, **“화를 곧 풀고, 원한은 빨리 잊어야 한다”**는 맹자의 교훈입니다.🧠 맹자의 감정철학 – 왜 .. 2025. 5. 16.
728x90
반응형